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바 고급2편 - 네트워크 프로그램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3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2
- 스프링 입문(무료)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4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9
- 자바 기초
- @Aspect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2
- 자바로 키오스크 만들기
- 자바 중급2편 - 컬렉션 프레임워크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
- 자바로 계산기 만들기
- 데이터 접근 기술
- 스프링 mvc2 - 타임리프
- 스프링 mvc2 - 로그인 처리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6
- 스프링 mvc2 - 검증
- 자바 중급1편 - 날짜와 시간
- 람다
- 2024 정보처리기사 시나공 필기
- 스프링 고급 - 스프링 aop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7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5
- 자바 고급2편 - io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1
- 2024 정보처리기사 수제비 실기
- 스프링 mvc1 - 스프링 mvc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4
- 스프링 트랜잭션
- Today
- Total
개발공부기록
2장 -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핵심 요약 본문
2024년도 시나공 필기 책 내용 정리
섹션10.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1.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기존 네트워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특정 서비스의 전송 경로 수정을 통하여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처리할 수 있음
2. SDS(Software Defined Storage)
- 물리적인 데이터 스토리지(Data Storage)를 가상화하여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처럼 관리하거나, 하나의 스토리지를 여러 스토리지로 나눠 사용할 수 있는 기술
3. SDDC(Software Defined Data Center)
- 데이터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 및 제어되는 데이터 센터
4. 올조인(AllJoyn)
- 오픈소스 기반의 사물인터넷(IoT)플랫폼
- 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표준화된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서 서로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함
5.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목적을 위한 네트워크
- 수십에서 수천 개의 디바이스를 그물망(Mesh)과 같이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든 구간을 동일한 무선망처럼 구성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함
6. 피코넷(PICONET)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Ultra Wide Band)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7. 클라우드 기반 HSM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암호화 키의 생성, 저장, 처리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보안기기를 가리키는 용어
- 암호화 키 생성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암호 기술이 가지는 보안 취약점을 무시할 수 있음
8. 파스-타(Paas-TA)
-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국내 IT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며, 인프라 제어 및 관리 환경, 실행 환경, 개발 환경, 서비스 환경, 운영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음
9. 징(Zing)
- 10cm 이내 거리에서 3.5Gbps 속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무선통신(NFC)
- 휴대용 스마트 기기, 노트북, 쇼핑몰 및 거리 등의 광고나 키오스크에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음
10. WDM(Wava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 기술의 하나로, 파장이 다른 광선끼리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신호를 보냄으로써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11. SSO(Single Sign 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12.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 정보 기술을 전력에 접목해 효율성을 높인 시스템
- 전력선을 기반으로 모든 통신, 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함
13. 메타버스(Metaverse)
- 가공(Meta)과 현실 세계(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가르킴
- 1992년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함
섹션11. 네트워크 구축
1. 버스형(Bus)
-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연결된 형태
2.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 LAN의 물리적인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분리하는 기술로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3. WPA(Wi-Fi Protected Access)
- Wi-Fi에서 제정한 무선 랜(WLAN) 인증 및 암호화 관련 표준
4. LAN의 표준 규격 - 802.11e
- 802.11의 부가 기능 표준으로, QoS기능이 지원되도록 하기위해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수정함
5. CSMA/CD
- 데이터 프레임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CSMA 방식에 충돌 검출 기능과 충돌 발생 시 재송신하는 기능을 부가함
- 통신 회선이 사용중이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고, 통신 회선 상에 데이터가 없을 때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며 송신중에도 전송로의 상태를 계속 감시함
6. CSMA/CA
- 무선 랜에서 데이터 전송 시 매체가 비어있음을 확인한 뒤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을 기다린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회선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동시 전송에 의한 충돌을 예방함
섹션12.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IGP에 속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림
-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이 사용됨
-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함
2.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최단 경로 탐색에 다익스트라(Dijkstra)알고리즘을 사용함
-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멀티 캐스팅을 지원함
3. 흐름 제어 - 정지 대기(Stop-and-Wait)
- 수신 측의 확인 신호(ACK)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할 수 있음
섹션13. SW 관련 신기술
1. 매시업(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2. 증발품(Vaporware)
-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
3.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 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 업무 프로세스 계층(Biz-Process)
- 서비스 중간 계층(Service Intermediary)
-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 데이터 저장 계층(Persistency)
4.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현실 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최적화,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5. 텐서플로(TensorFlow)
- 구글의 구글 브레인 팀이 만든 다양한 작업에 대해 데이터 흐름 프로그래밍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6. 도커(Docker)
- 컨테이너 기술을 자동화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안에 응용 프로그램들을 배치시키는 일을 자동화 해주는 역할을 수행함
7. 스크래피(Scrapy)
- Python 기반의 웹 크롤링 프레임워크로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대규모의 크롤링 프로젝트에 적합함
섹션14. 보안 관련 신기술
1. 비트로커(BitLocker)
- Windows7부터 지원되기 시작한 Windows 전용의 볼륨 암호화 기능
- TPM과 AES-128알고리즘을 사용함
2.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 블록체인(Blockchain) 앱의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함
3. OWASP(오픈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
- 웹 정보 노출이나 악성 코드, 스크립트, 보안이 취약한 부분을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
4. TCP 래퍼(TCP Wrapper)
- 외부 컴퓨터의 접속 인가 여부를 점검하여 접속을 허용 및 거부하는 보안용 도구
5. 허니팟(Honeypot)
- 비정상적인 접근의 탐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설치해 둔 시스템
- 침입자를 속여 실제 공격당하는 것처럼 보여줌으로써 추적 및 공격기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
6.DPI(Deep Packey Inspection)
- OSI 7 Layer 전 계층의 프로토콜과 패킷 내부의 콘텐츠를 파악하여 침입시도, 해킹 등을 탐지하고 트래픽을 조정하기 위한 패킷 분석기술
섹션15. HW 관련 신기술
1. 고가용성 솔루션(HACMP)
-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매커니즘
- 각 시스템간에 공유 디스크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링으로 엮어 다수의 시스템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음
2. 앤 스크린(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PC, TV, 휴대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끊김 없이 이용 할 수 있음
섹션16. Secure OS
1. Secure OS
- 기존의 운영체제에 내재된 보안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안 기능을 갖춘 거널을 이식하여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보호하는 운영체제를 의미
- Secure OS의 보안 기능 : 식별 및 인증, 임의적/강제적 접근 통제, 객체 재사용 보호, 완전한 조정, 신뢰 경로, 감사 및 감사기록 축소 등
섹션17. DB 관련 신기술
1. 하둡(Hadoop)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 하둡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스쿱(Sqoop)이라는 도구를 이용함
2. 맵리듀스(MapReduce)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 Google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대표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병렬 처리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3. 타조(Tajo)
-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실시간 상호 분석에 모두 사용할 수 있음
4.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대량의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용하고 가능성 있는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기법
5.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방식을 말함
- OLAP연산 : Roll-up, Drill-down, Drill-through, Drill-across, Pivoting, Slicing, Dicing
섹션18. 회복 / 병행제어
1. 회복(Recovery)
-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되기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2. 즉각 갱신 기법(Immediate Update)
-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면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 되기 전이라도 즉시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방법
- 장애가 발생하여 회복 작업할 경우를 대비하여 갱신된 내용들은 Log에 보관
3. 병행제어의 목적
-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를 최대화
- 시스템의 활용도를 최대화
-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
- 사용자에 대한 응답 시간을 최소화
4. 로킹(Locking)
- 주요 데이터의 액세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하는 것
- 트랜잭션들이 어떤 로킹 단위를 액세스하기 전에 Lock을 요청해서 Lock이 허락되어야만 그 로킹 단위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
5. 타임 스탬프 순서(Time Stamp Ordering)
- 직렬성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트랜잭션 간의 처리 순서를 미리 선택하는 기법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
6. 로킹 단위(Locking Granularity)
- 병행제어에서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를 의미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필드 등이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음
- 로킹 단위가 크면 로크 수가 작아 관리하기 쉽지만 병행성 수준이 낮아지고, 로킹 단위가 작으면 로크 수가 많아 관리하기 복잡해 오버헤드가 증가하지만 병행성 수준이 높아짐
섹션19. 교착상태
1.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 충분 조건 4가지
-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 비선점(Non-preemption)
- 환형 대기(Circular Wait)
2. 회피 기법(Avoidance)
-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 나가는 방법으로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이 사용됨
- 은행원 알고리즘: E. J. Dijkstra가 제안한 것으로 은행에서 모든 고객의 요구가 충족되도록 현금을 할당하는 데서 유래한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