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고급2편 - io
- 스프링 트랜잭션
- 2024 정보처리기사 수제비 실기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2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1
- 스프링 mvc2 - 타임리프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6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4
- 자바로 키오스크 만들기
- 자바 중급1편 - 날짜와 시간
- 스프링 mvc2 - 검증
- 스프링 mvc1 - 스프링 mvc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3
- 데이터 접근 기술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9
- 2024 정보처리기사 시나공 필기
- 람다
- 자바 고급2편 - 네트워크 프로그램
- @Aspect
- 자바로 계산기 만들기
- 스프링 고급 - 스프링 aop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5
- 자바 중급2편 - 컬렉션 프레임워크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7
- 자바 기초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4
- 스프링 mvc2 - 로그인 처리
- 자바의 정석 기초편 ch12
- 스프링 입문(무료)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59)
개발공부기록

1) for문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블럭{}을 반복 - 반복 횟수를 알 때 적합초기화 -> 조건식 -> 수행될 문장 -> 증감식 -> 조건식 -> 수행될 문장... (거짓이 될때까지 반복 후) -> for문 아웃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 수행될 문장}for(int i=1; ifor 문의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은 생략이 가능초기화 -> for문 밖에서 선언조건식 -> 생략 시 항상 true -> 무한 반복문int i = 1; // 변수를 for문 밖에서 미리 선언 -> 초기화 생략 가능for ( ; ; ) { // for문의 초기화, 조건식(생략시 항상 ture), 증감식 생략 System.out.println("i="i+1);} (1) 기본 예제public class ex4_8 ..
1) switch문처리해야하는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유용한 조건문if-else if문과 비슷하지만 더 간단한 코드로 조건문을 작성할 수 있음switch 문은 항상 if-else if문으로 바꿀 수 있지만 if-else if문은 항상 switch문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님switch의 제약조건에 걸리지 않고 경우의 수가 많은 if-else if문을 switch문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 진행(1) 동작 방식조건식을 계산 -> 정수나 문자열 (true, false가 아님)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문장실행break문이나 switch문의 끝을 만나면 switch문 전체를 빠져나감break문을 빠트렸을 경우 다른 break문을 만나거나 switch문을 끝까지 실행한 경우 빠져나감break문을 ..

1) 조건문과 반복문조건문과 반복문을 제어문(flow control statement)이라 부름(1) 조건문조건을 만족할때만 { } 를 수행 (0 ~ 1번)if / switch(2) 조건문 예시if (score > 60) { System.out.println("합격입니다."); System.out.println("축하드립니다.");}참이면 위의 문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거짓이면 모두 건너뜀(3) 반복문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 }를 수행 (0 ~ n번)for / while(4) 반복문 예시int i = 10;while (i-- > 0) { System.out.println(i);}조건을 확인해서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계속 반복하고 조건을 벗어나면 다음 문장을 실행조건이 처음부터 안맞으면 건너뜀2) If..

1) 논리 연산자두 조건식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or) - 피연산자 중 어느 한쪽이 true이면 true를 결과로 얻는다&& (and) - 피연산자 양쪽 모두 true여야만 true를 결과로 얻는다&& 와 || 가 동시에 있을 경우 &&가 먼저 연산 됨x는 10보다 크고, 20보다 작다x > 10 && x 10 i는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이다.i%2==0 || i%3==0i는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지만, 6의 배수는 아니다(i%2==0 || i%3==0) && i%6!=0 and와 or가 함께 사용하는 식의 경우 and가 먼저 계산 되므로 주의문자 ch는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0'~'9' 사이의 값이다ch가 '0'과 '9' 사이에 오도록 코드를 작성 -> 유니코드 문자가 '0' ~ '..

1) 사칙연산자같은 타입의 피연산자만 계산 가능int / int -> 결과가 int타입으로 소수점 이하는 버려짐int / float -> float(산술변환) / float -> float2) 산술변환연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 시키는 것두 연산자의 타입을 보다 큰 타입으로 일치 시킴int보다 작은 타입(byte, char, short) 이면 int로 변환됨 (int보다 작은 타입은 범위가 너무 작다보니 int타입으로 변환됨) 예제int a = 1_000_000_000;int b = 2_000_000_000;long c = a * b; // 에러 발생 (a와 b가 int타입)long c = (long)a * b; // OK (a 혹은 b타입 중 한가지를 형변환 해줘야 함)3) Math.r..

1) 증감연산자코드의 식을 간단히 하려고 고안 됨증가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 시킨다감소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 시킨다전위형 : 값이 참조되기 전에 반영 j = ++i;++i; -> i의 값이 증가j = i; -> 증가된 i의 값을 참조하여 대입후위형 : 값이 참조된 후에 반영j = i++;j = i; -> 먼저 참조하여 대입i++; -> 그 후에 i의 값을 증가++i, i++ 이렇게 증감 연산자만 독립적으로 사용된 경우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가 없음예시public class ex3_{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5, j=0; j = i++; // 후위형 System.out.println("j=..

1) 타입간의 변환방법(1) 문자와 숫자간의 변환(char)(3 + '0') // 3 -> '3' '3' - '0' // '3' -> 3 (2) 문자열로의 변환3 + "" // 3 -> "3" '3' + "" // '3' -> "3" (3)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Integer.parseInt("3") // "3" -> 3Double.parseDouble("3") // "3.4" -> 3.4 (4)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3".charAt(0) // "3" -> '3' (5) 코드연습public class ex2_1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tring str = "3"..

1) Scanner(1) 화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import문 추가 import java.util.*;Scanner객체의 생성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System.in : 화면입력Scanner객체를 사용int num = scanner.nextInt();화면에서 입력받은 정수를 num에 저장실수로 저장할 경우 nextFloat()라인으로 입력 받기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 화면에서 입력받은 내용을 input에 저장 (nextLine = 한행)int num = Integer.parseInt(input); // 문자열(input)을 숫자(num)로 변환위의 두 문장은 맨위의 int num ..